RJ번째 세계(r22 Blame)

r22
r1

(새 문서)
1[include(틀:상위 문서, up=세계/엑스트라 섬)]
2[include(틀:세계)]
r13
3||<nopad><width=8.3%> ||<nopad><width=8.3%> ||
r14
4||<-3><tablealign=right><tablewidth=500><bgcolor=#30346A><color=#AEBEFF><table bordercolor=#AA3F84> {{{#!wiki style="margin: -5px -10px; padding: 6px 10px; background-image: radial-gradient(circle, #F4CAA0, #AA3F84, #30346A, #30346A, #30346A, #30346A)" [[파일:World RJ Icon.png|width=75]][br]{{{#!wiki style="display: inline; text-shadow: -1px -1px #181C39, -1px 0 #181C39, -1px 1px #181C39, 0 1px #181C39, 1px 1px #181C39, 1px 0 #181C39, 1px -1px #181C39, 0 -1px #181C39;color:#AEBEFF"
5'''{{{+4 RJ번째 세계}}}'''[br]{{{+1 Rhythm Journey와의 컬래버레이션!}}}[br]{{{-1 A collaboration with Rhythm Journey}}}}}}}}} ||
r13
6||<-2><bgcolor=#30346A><nopad> {{{#!wiki style="background-image: linear-gradient(to bottom, #000000 75%, #2A3841)"
r17
7[[파일:World RJ Portal.png|width=100%]]}}} ||
r19
8||<-2><bgcolor=#30346A><color=#F4CAA0><nopad> {{{#!folding [ PC 프로필 이미지 펼치기 · 접기 ]
r17
9{{{#!wiki style="background-image: linear-gradient(to bottom, #000000 75%, #2A3841)"
10[[파일:World RJ.png|width=75%]]}}}}}} ||
r13
11||<-2><bgcolor=#30346A><nopad>'''{{{+1 {{{#F4CAA0 | 출시일}}}}}}''' ||
r15
12||<-2>2022년 1월 28일(v1.15.0) ||
r13
13||<-2><bgcolor=#30346A><nopad>'''{{{+1 {{{#F4CAA0 | 처음 등장하는 패턴}}}}}}''' ||
14||<-2>동시치기 타일[* 이 레벨만을 위한 일회성 기믹이다.] ||
15||<-2><bgcolor=#30346A><nopad>'''{{{+1 {{{#F4CAA0 | 분류}}}}}}''' ||
16||<-2>엑스트라 레벨, [[세계/엑스트라 섬|엑스트라 섬]] ||
17||<-2><bgcolor=#30346A><nopad>'''{{{+1 {{{#F4CAA0 | 튜토리얼 개수}}}}}}''' ||
18||<-2>7개 ||
19||<-2><bgcolor=#30346A><nopad>'''{{{+1 {{{#F4CAA0 | 해금 조건}}}}}}''' ||
20||<-2>6번째 세계 클리어 ^^(PC)^^[br]4번째 세계 클리어 ^^(모바일)^^ ||
21||<-2><bgcolor=#30346A><nopad>'''{{{+1 {{{#F4CAA0 | 관련 도전 과제}}}}}}''' ||
22||<-2>[[A Dance of Fire and Ice#s-4.2|[[파일:xtraworldc.png|width=30]]]] 엑스트라 세계 완료[br][[A Dance of Fire and Ice#s-4.2|[[파일:xtraworldst.png|width=30]]]] 엑스트라 세계 배속 도전 완료 ||
r1

(새 문서)
23[clearfix]
24[목차]
25== 개요 ==
r2
26[[A Dance of Fire and Ice]]의 공식 레벨 중 [[세계/엑스트라 섬|엑스트라 섬]]의 여섯번째 레벨이자 '''Rhythm Journey'''와의 콜라보 레벨인 '''RJ번째 세계'''에 대해 서술하는 문서.
r20
27== 특징 ==
r1

(새 문서)
28== 튜토리얼 ==
29=== RJ-1 리듬의 흐름 ===
r10
30||<table align=left><-6><tablewidth=400><colbgcolor=#30346A><table bordercolor=#AA3F84><colcolor=#F4CAA0>RJ-1[br]'''{{{+2 리듬의 흐름}}}'''[br]{{{-1 Trickle Down}}} ||
r21
31||<-6><nopad> [youtube(N1QGz1Xj-PA)] ||
r10
32||<-6><nopad> {{{#!folding [ 전체 튜토리얼 트랙 보기 ]
33[[파일:tutorj-1.png]]}}} ||
34||<width=25%> '''BPM''' ||<-3>95 ||
35|| '''타일 수''' ||<-3>14 ||
r21
36|| '''배우는 패턴''' ||<-3>느린 16분박 패턴 ||
r22
37박자 자체는 까다로운 박자라고 할 수 있지만, BPM이 느리기 때문에 할만하다.
38■□□□|□□□■|□■□□|□□□□
r1

(새 문서)
39=== RJ-2 두 개의 키로 즐기는 리듬게임 ===
r12
40||<table align=left><-6><tablewidth=400><colbgcolor=#30346A><table bordercolor=#AA3F84><colcolor=#F4CAA0>RJ-2[br]'''{{{+2 두 개의 키로 즐기는 리듬게임}}}'''[br]{{{-1 Two-Button Rhythm Game}}} ||
r21
41||<-6><nopad> [youtube(nWhpamz0FqY)] ||
r11
42||<-6><nopad> {{{#!folding [ 전체 튜토리얼 트랙 보기 ]
r12
43[[파일:tutorj-2.png]]}}} ||
r11
44||<width=25%> '''BPM''' ||<-3>130 ||
45|| '''타일 수''' ||<-3>32 ||
r20
46|| '''배우는 패턴''' ||<-3>동시치기 타일 ||
r22
47최초로 동시치기 타일이 등장하는 튜토리얼.
48타일 안에 타일이 있는 것처럼 보이는 것이 동시치기 타일이다.
49기존 동시치기는 두 타일을 작은 각도로 배치해 거의 동시에 처리하는 식으로 구현했다면, 이 레벨에 등장하는 동시치기 타일은 타일 하나에 두 번의 입력이 들어간다.
50튜토리얼의 트랙 자체는 일자여서 클리어가 어렵지 않다.
51앞으로 박자 표기에 나오는 동시치기 타일은 {{{#4B5C94 ■}}}로 표시한다.
r1

(새 문서)
52=== RJ-3 몰아치는 브레이크 ===
r12
53||<table align=left><-6><tablewidth=400><colbgcolor=#30346A><table bordercolor=#AA3F84><colcolor=#F4CAA0>RJ-3[br]'''{{{+2 몰아치는 브레이크}}}'''[br]{{{-1 Stomp Breaks}}} ||
r21
54||<-6><nopad> [youtube(YpC_RM2TD4U)] ||
r11
55||<-6><nopad> {{{#!folding [ 전체 튜토리얼 트랙 보기 ]
r12
56[[파일:tutorj-3.png]]}}} ||
r11
57||<width=25%> '''BPM''' ||<-3>170 ||
58|| '''타일 수''' ||<-3>31 ||
r20
59|| '''배우는 패턴''' ||<-3>동시치기 타일의 응용 ||
r22
60앞선 레벨에 나온 동시치기 타일을 응용한 것이다.
61동시치기 박자만 익히면 쉽게 클리어할 수 있다.
62박자는 다음과 같다.
63■□■□|{{{#4B5C94 ■}}}□□■|□■□□|{{{#4B5C94 ■}}}□□□
r1

(새 문서)
64=== RJ-4 고리 속에서 ===
r12
65||<table align=left><-6><tablewidth=400><colbgcolor=#30346A><table bordercolor=#AA3F84><colcolor=#F4CAA0>RJ-4[br]'''{{{+2 고리 속에서}}}'''[br]{{{-1 In The Loop}}} ||
r21
66||<-6><nopad> [youtube(sFy-rOWIvFk)] ||
r11
67||<-6><nopad> {{{#!folding [ 전체 튜토리얼 트랙 보기 ]
r12
68[[파일:tutorj-4.png]]}}} ||
r11
69||<width=25%> '''BPM''' ||<-3>160 ||
70|| '''타일 수''' ||<-3>53 ||
r20
71|| '''배우는 패턴''' ||<-3>반복되는 동시치기 패턴 ||
r22
72이번 레벨 또한 동시치기 타일을 응용한 것이다.
73박자는 다음과 같다.
74■□■□|{{{#4B5C94 ■}}}■□■|□■■□|{{{#4B5C94 ■}}}■□□
75이 박자가 5번 반복되다가 마지막에 동시치기 타일의 위치가 살짝 바뀐다.
76이 부분만 조심하면 크게 어렵지 않다.
r1

(새 문서)
77=== RJ-5 고리 속에서 (심화편) ===
r12
78||<table align=left><-6><tablewidth=400><colbgcolor=#30346A><table bordercolor=#AA3F84><colcolor=#F4CAA0>RJ-5[br]'''{{{+2 고리 속에서 (심화편)}}}'''[br]{{{-1 The Loop's Brother}}} ||
r21
79||<-6><nopad> [youtube(VEGaf_OyzVA)] ||
r11
80||<-6><nopad> {{{#!folding [ 전체 튜토리얼 트랙 보기 ]
r12
81[[파일:tutorj-5.png]]}}} ||
r11
82||<width=25%> '''BPM''' ||<-3>170 ||
83|| '''타일 수''' ||<-3>46 ||
r20
84|| '''배우는 패턴''' ||<-3>반복되는 동시치기 패턴의 심화 ||
r22
85앞선 레벨과 박자가 비슷하지만 BPM이 살짝 빠르다.
86박자는 다음과 같다.
87■□■□|{{{#4B5C94 ■}}}■□■|□■□□|{{{#4B5C94 ■}}}■□{{{#4B5C94 ■}}}
r1

(새 문서)
88=== RJ-6 격자 ===
r12
89||<table align=left><-6><tablewidth=400><colbgcolor=#30346A><table bordercolor=#AA3F84><colcolor=#F4CAA0>RJ-6[br]'''{{{+2 격자}}}'''[br]{{{-1 Lattice}}} ||
r21
90||<-6><nopad> [youtube(7mria-daVSU)] ||
r11
91||<-6><nopad> {{{#!folding [ 전체 튜토리얼 트랙 보기 ]
r12
92[[파일:tutorj-6.png]]}}} ||
r11
93||<width=25%> '''BPM''' ||<-3>190 ||
94|| '''타일 수''' ||<-3>38 ||
r20
95|| '''배우는 패턴''' ||<-3>격자 모양 동시치기 패턴||
r22
96동시치기 타일과 일반 타일이 굉장히 많이 섞여있다. BPM 또한 낮지 않은 편이라 헷갈리기 쉬우니 주의해야 한다.
97박자는 다음과 같다.
98■□■□|{{{#4B5C94 ■}}}■□■|□{{{#4B5C94 ■}}}■□|{{{#4B5C94 ■}}}■□{{{#4B5C94 ■}}}
99이 패턴이 3번 반복된 이후에 살짝 다른 박자가 나오는 것도 조심해야 한다.
r1

(새 문서)
100=== RJ-7 낚싯바늘 ===
r12
101||<table align=left><-6><tablewidth=400><colbgcolor=#30346A><table bordercolor=#AA3F84><colcolor=#F4CAA0>RJ-7[br]'''{{{+2 낚시바늘}}}'''[br]{{{-1 Fish Hooks}}} ||
r21
102||<-6><nopad> [youtube(zr5hTvjhi3E)] ||
r11
103||<-6><nopad> {{{#!folding [ 전체 튜토리얼 트랙 보기 ]
r12
104[[파일:tutorj-7.png]]}}} ||
r11
105||<width=25%> '''BPM''' ||<-3>190 ||
106|| '''타일 수''' ||<-3>40 ||
r20
107|| '''배우는 패턴''' ||<-3>사각형, 엇박, 유턴 패턴 ||
r22
108RJ-1과 함께 동시치기 타일이 나오지 않는 튜토리얼이다.
109박자는 다음과 같다.
110■□■■|■■□■|□■□■|■■□□
r1

(새 문서)
111== RJ-X Fear Grows ==
r16
112||<nopad><width=8.3%> ||<nopad><width=8.3%> ||<nopad><width=8.3%> ||<nopad><width=8.3%> ||<nopad><width=8.3%> ||<nopad><width=8.3%> ||<nopad><width=8.3%> ||<nopad><width=8.3%> ||<nopad><width=8.3%> ||<nopad><width=8.3%> ||<nopad><width=8.3%> ||<nopad><width=8.3%> ||
113||<-12><tablealign=center><tablewidth=650><bgcolor=#30346A><table bordercolor=#AA3F84><color=#F4CAA0>{{{#!wiki style="margin: -5px -10px; padding: 6px 10px; background-image: radial-gradient(circle, #F4CAA0, #AA3F84, #30346A, #30346A, #30346A, #30346A)"
114{{{#!wiki style="display: inline; text-shadow: -1px -1px #181C39, -1px 0 #181C39, -1px 1px #181C39, 0 1px #181C39, 1px 1px #181C39, 1px 0 #181C39, 1px -1px #181C39, 0 -1px #181C39;color:#AEBEFF"
115{{{+1 RJ-X}}}[br]'''{{{+4 Fear Grows}}}'''[br]{{{+1 Linky}}}}}}}}} ||
r21
116||<-12><bgcolor=#30346A><nopad> [youtube(u-qeJlDwVBI,width=650,height=366)]||
r16
117||<-12><bgcolor=#30346A><nopad>'''{{{+1 {{{#F4CAA0 | 레벨 정보}}}}}}''' ||
118||<-3><width=20%> {{{-1 곡 길이}}}[br]'''{{{+3 1:31}}}''' ||<-3><width=20%> {{{-1 BPM}}}[br]'''{{{+3 104}}}'''[* 최대 타일 BPM 208, 체감 BPM 416] ||<-3><width=20%> {{{-1 타일 수}}}[br]'''{{{+3 296}}}''' ||<-3><width=20%> {{{-1 배속 목표}}}[br]'''{{{+3 x1.2}}}''' ||
119||<-12><bgcolor=#30346A><nopad>'''{{{+1 {{{#F4CAA0 | 주요 패턴}}}}}}''' ||
r21
120||<-12>[include(틀:레벨 태그,tag1=Multitap,tag2=U-Turn)] ||
r16
121||<-12><bgcolor=#30346A><nopad>'''{{{+1 {{{#F4CAA0 | 난이도}}}}}}''' ||
122||<-4> {{{-1 [[https://docs.google.com/spreadsheets/d/1Zdcrfwxbuew1DE8WYm2geTHYEQii288P07dokyZ2NlU/edit?gid=1992961051#gid=1992961051|난이도 시트]]}}}[br]'''{{{+4 -}}}''' ||<-4> {{{-1 ADOFAI.gg}}}[br]'''{{{+4 -}}}''' ||<-4> {{{-1 TUF}}}[br][[파일:TUF Lv P7.png|width=40]] ||
123== 여담 ==
r20
124 * 이 세계에 등장하는 동시치기 타일은 상술했듯이 이 세계에서만 등장하는 일회성 기믹인데, 유저들이 커스텀 레벨에서 장식을 이용해 유사하게 구현하는 경우가 많다[* 더군다나 타일 오브젝트 장식 기능이 생겨 구현이 더욱 쉬워졌다.].
r1

(새 문서)
125[[분류:공식 레벨]]